수익률 곡선4 수익률 곡선 정상화 (보충 설명) 어제에 이어서 수익률 곡선에 관련된 포스팅입니다. 괜찮은 기사가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원문은 The Yield Curve Keeps ‘Uninverting.’ What That Means and Why It Matters.입니다. 채권시장의 변화는 미국 경제가 침체를 피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키우고 있습니다. 시장 관찰자들은 이른바 수익률 곡선이 수요일과 8월 5일에 유사한 움직임을 보인 후 목요일에 다시 잠시 "역전"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10년 만기 국채가 장중 거래에서 2년물 국채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제공) 인플레이션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한 손실 위험을 고려할 때 장기 대출에 대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장기 부채 수익률이 높아진다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나.. 2024. 9. 6. 수익률 곡선 정상화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2년 수익률을 잠시 상회하면서 2022년 6월 이후 전형적인 경기 침체 지표였던 수익률 곡선이 역전에서 정상화가 되었습니다. (아래 그림 참조,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 2년 만기 국채 수익률)2022년 7월 이후부터 수익률 곡선 반전을 보여줬습니다. 즉, 2년 수익률이 10년 수익률보다 높았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 2년 만기 국채 수익률 스프레드는 마이너스) 이러한 경우는 곧 다가올 경기 침체의 신호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며칠 전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2022년 6월 이후 처음으로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을 상회했습니다. 이는 경제 상황의 잠재적 변화를 시사합니다. 지난 2년여간은 단기 수익률이 장기 수익률보다 높은 역수익률 곡.. 2024. 9. 5. 선행지표가 무엇인가요? 경제 뉴스를 읽다가 선행지표 (leading indicator)라는 낯설지 않은 용어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자주 봐왔던 용어인데 선뜻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는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먼저 사전적인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경기의 동향을 나타내는 각종 경제지표 중 경기의 움직임보다 앞서 움직이는 지표” 즉, 선행지표는 주요 경제 지표로 경제가 특정 방향으로 어떻게 움직일 지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정책 입안자 (policymaker)나 중앙 은행장 (central bankers)은 선행지표를 재정 또는 통화 정책을 만들 때 사용하고, 투자자들은 향후 시장 상황을 예측함으로써 투자 전략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 선행지표를 사용합니다. 참고로 선행지표의 반대는 후행지표 (lagging indica.. 2020. 9. 21. 수익률 곡선이란 무엇인가요? 오늘도 경제 예측에 사용되는 경제 관련 용어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먼저, 채권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하면, 채권은 정부, 공공단체와 주식회사 등이 일반인으로부터 비교적 거액의 자금을 일시에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차용증서이며, 이자가 확정되어 있으며, 상환기한이 정해져 있습니다. 채권은 단기 (1 년 미만)에서 장기 (최대 30 년)까지 만기가 다양하게 발행됩니다. 채권은 동일 발행자가 발행하여도 만기에 따라 투자 위험을 반영하여 수익률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채권의 만기가 길수록 투자자에 대한 위험이 높아져 수익률이 높아집니다. 신용 등급이 같지만 만기가 다른 채권의 수익률을 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수익률 곡선(금리와 단/장기 국채 만기 시간 간의 관계)이라고 합니다. 수익률 곡선은 .. 2020. 9.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