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GAAP에 대해서 포스팅을 한 적이 있었던 것 같은데 그 의미를 어렴풋하게 알고 있는 듯해서 다시 한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GAAP은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 원칙을 의미하며 회계사와 기업이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발표할 때 따라야 할 규칙서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GAAP은 재무 보고의 일관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화된 회계 원칙 및 지침 세트입니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 보면 스포츠에서 플레이어가 게임의 규칙을 따라야 하는 것처럼 기업도 금융 세계에서 공정한 플레이를 보장하기 위해 GAAP을 따라야 합니다.
GAAP가 중요한 이유는 회계 관련 일관성, 투명성, 신뢰성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일관성: 우리 모두가 안전하게 운전하기 위해 교통 규칙을 따르는 것처럼, 기업도 재무 보고서를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 GAAP 규칙을 따릅니다. 이러한 일관성은 모든 사람이 서로 다른 회사의 재무제표를 이해하고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투명성: GAAP은 기업이 재무에 대해 정직하고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투명성은 투자자, 대출 기관 및 기타 이해관계자가 회사에 대해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신뢰성: GAAP을 사용하면 기업이 제공하는 재무 정보가 정확하고 표준 관행을 따른다는 것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GAAP의 주요 구성 요소:
GAAP 수익성은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 원칙(GAAP)에 의해 측정된 회사의 수익성을 의미합니다. GAAP에 따라 수익성을 보고한다는 것은 수익, 비용, 자산 및 부채를 인식하고 보고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이러한 표준화된 규칙에 따라 재무 결과가 계산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수익: 회사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벌어들이는 수익.
비용: 회사가 사업을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 예를 들어 급여와 임대료.
자산: 현금, 건물, 장비 등 회사가 소유한 자산.
부채: 대출이나 부채와 같이 회사가 갚아야 할 것.
형평성: 자산에서 부채를 뺀 후 회사에 남은 가치.
예: GAAP 재무제표에 보고된 순이익, 영업이익, 주당 순이익(EPS)입니다.
GAAP 수익성은 모든 기업이 동일한 회계 규칙을 따르도록 보장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일관되게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 애널리스트 및 기타 이해관계자는 산업 전반에 걸쳐 기업의 재무 성과를 평가하고 비교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GAAP와 함께 자주 등장하는 것이 비일반회계기준(Non-GAAP) 입니다.
비일반회계기준(non-GAAP) 측정치는 기업이 성과에 대한 추가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체 재무 지표입니다. 이러한 측정치는 GAAP 가이드라인에 구속되지 않으며 기업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목적: 비일반회계기준(non-GAAP) 조치는 기업이 핵심 운영 성과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특정 항목을 제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는 일회성 비용, 비현금 항목 또는 기타 조정 사항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구성 요소: 비일반회계기준(Non-GAAP) 조치는 주식 기반 보상, 구조조정 비용, 인수 관련 비용 등과 같은 항목에 대해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 이자, 세금, 감가상각 및 상각 전 조정 순이익(EBITDA), 조정 순이익, 조정 주당순이익.
비일반회계기준(non-GAAP) 측정은 추가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일관성과 비교 가능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비일반회계기준(Non-GAAP) 조치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핵심 운영 인사이트: 기업은 비일반회계기준(non-GAAP) 측정치를 사용하여 비반복 또는 비운영 항목을 제외하고 핵심 운영 성과를 강조합니다.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비일반회계기준(Non-GAAP) 조치는 경영진이 투자자와 애널리스트에게 성과의 특정 측면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연성: 비일반회계기준(non-GAAP) 조치를 통해 기업은 비즈니스 모델과 운영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재무 지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와 애널리스트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성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GAAP 측정치와 non-GAAP 측정치를 모두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일반회계기준 측정치를 평가할 때는 항상 조정의 맥락과 근거를 고려해야 합니다.
오늘은 GAAP와 non-GAAP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공부하는 초보 투자자의 정리 내용입니다. 그냥 투자 참고 내용일 뿐임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재테크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폴리오 다변화의 힘: 스마트한 투자로 가는 초보자 가이드 (1) | 2025.02.24 |
---|---|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들에게 보내는 연례 서한 (2025년 2월) (0) | 2025.02.23 |
워런 버핏의 현금 비축 (0) | 2025.02.19 |
주식 추가 공모 (Follow-On Public Offers) (0) | 2025.02.18 |
피터 린치의 투자 조언 (0) | 2025.02.10 |
트럼프의 관세 정책 (1) | 2025.02.03 |
deepseek R1 vs OpenAI ChatGPT (0) | 2025.01.28 |
2025년 시장: 강세 시장 (Bull market)? (0) | 2025.01.22 |
댓글